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비교표

중소·중견기업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돕는 제도로 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있습니다. 두 제도는 목적은 비슷하지만 대상, 기간, 적립금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 비교표를 보고 나에게 맞는 제도를 선택해 보세요.

 

 

 

 

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비교


구분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대상 중소·중견기업에 신규 취업한 청년(만 15~34세, 군 복무 시 최대 6년 제외) 중소·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만 15~34세, 군 복무 시 최대 6년 제외)
목적 신규 채용 청년의 초기 적응과 장기근속 유도 재직 청년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 지원
기간 2년형, 3년형 5년형
본인 부담 2년형: 300만 원 / 3년형: 600만 원 720만 원(월 12만 원 × 60개월)
기업 부담 300만 원 900만 원(월 15만 원 × 60개월)
정부 지원 2년형: 600만 원 / 3년형: 900만 원 1,080만 원
만기 수령액 2년형: 1,200만 원 / 3년형: 1,800만 원 2,700만 원 + 이자
신청 경로 워크넷,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도 해지 본인 부담금 + 일부 기업 부담금만 반환 본인 부담금 + 일부 기업 부담금만 반환


제도 선택 팁


  • 신규 취업자 →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적합
  • 현재 재직 중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적합
  • 목돈 목표 금액이 높으면 재직자형, 기간이 짧아도 되면 신규형 선택


결론


두 제도 모두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돕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본인의 경력 상황과 목표 기간, 목돈 규모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A


Q1. 신규 취업 후 바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가입이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청년재직자형은 재직 경력이 있어야 하며, 신규 채용자는 청년내일채움공제부터 가입 가능합니다.


Q2. 두 제도를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
A.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Q3. 군 복무 기간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A. 군 복무기간 최대 6년까지 나이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