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봤을 정책형 적금 상품.
바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둘 다 정부가 지원해주는 적금이지만 조건과 혜택이 꽤 달라,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잘 골라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 두 상품을 한눈에 비교하고, 어떤 경우에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한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정책 개요 비교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 이상 소득 청년까지 포함하며, 5년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반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자산형성 상품으로, 매월 10만 원 납입 시 30만 원 이상의 정부지원이 붙습니다.
주요 조건 비교표
| 항목 | 청년도약계좌 | 청년내일저축계좌 |
|---|---|---|
| 가입 연령 | 만 19~34세 | 만 19~34세 |
| 소득 요건 |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00% 이하 |
| 납입 기간 | 최대 5년 | 3년 |
| 정부 지원 | 월 10~40만 원 차등 지원 | 월 30~40만 원 (고정) |
| 총 수령 가능액 | 약 5,000만 원+ | 약 1,440만 원 |
| 지원 방식 | 이자 방식 (소득·가구에 따라 차등) | 매칭 방식 (고정 지원) |
| 계좌 개설처 | 은행 앱 또는 지점 | 복지로 또는 은행 |
어떤 사람이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
✅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한 경우
- ✔️ 정규직 또는 프리랜서지만 연 소득 2,400만 원 초과
- ✔️ 가구소득이 중위 100~180%에 해당
- ✔️ 월 70만 원 이상 여유 납입 가능
- ✔️ 5년간 유지할 인내력과 재정 계획이 있음
✅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유리한 경우
- ✔️ 소득이 적거나 미취업 상태 (2,400만 원 이하)
- ✔️ 수급자, 차상위 계층에 해당
- ✔️ 3년 이내 단기 목돈이 필요
- ✔️ 매달 10만 원 납입도 빠듯한 경우
신청 방법 및 주의사항
두 계좌 모두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며, 일단 하나를 선택하면 중도 해지 시 지원금 환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보통 3~6월, 9~11월 사이에 진행되며, 모집 시기가 다르므로 사전 공고를 잘 확인하세요.
Q&A
Q1. 두 계좌 모두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합니다. 중복 가입 시 자격 박탈.
Q2. 청년도약계좌가 더 수령금액이 큰 이유는?
A. 납입 기간(5년)과 금액(월 70만 원 이상), 소득 조건에 따라 더 큰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Q3.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실직 중이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단, 활동계획서 제출 등 참여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Q4. 도약계좌는 소득이 높아도 가입 가능한가요?
A.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가구소득 중위 180% 이내여야 합니다.
결론 및 추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사회초년생·취약계층에게 현실적이고 빠른 자산형성 수단이며,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 이상의 청년에게는 장기적으로 더 큰 목돈을 만들 기회를 줍니다.
내 소득, 가구 상황, 납입 여력을 따져보시고 신중히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도약계좌는 해지 시 불이익이 크기 때문에 시작 전에 꼭 5년간의 유지 계획을 세우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