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사는 24세 청년이라면, 놓치면 아까운 혜택이 있습니다.
바로 연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받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제도인데요.
2025년 4분기부터는 **학원 수강료·시험 응시료**까지 사용이 가능해지며 실질적인 혜택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 조건, 방법, 사용처를 꼼꼼히 살펴보고 내 권리를 챙겨보세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에게 **연 100만 원**(분기별 25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청년 지원 정책입니다.
이 제도는 경기도 내 청년의 사회 진입을 돕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대상자 확대와 더불어 **사용처 범위도 확대**되어, 활용 가치가 더욱 커졌습니다.
2025년 변경 사항 및 특징
2025년 기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항목 | 내용 |
---|---|
지급 금액 | 연 100만 원 (분기당 25만 원) |
지급 형태 | 모바일/카드형 지역화폐 |
사용처 확대 | 학원 수강료, 자격증 시험 응시료까지 가능 (2025년 4분기부터) |
신청 방식 | 온라인 신청 (경기도 일자리재단, 경기청년포털 등) |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신청 조건은 간단합니다. 단,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 **만 24세** (출생연도 기준, 2001년생은 2025년 전체 분기 대상)
-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있고, **최근 3년 이상 거주 또는 총 10년 이상 거주**한 자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
※ 신청 시점에 주민등록이 타 시·도로 이전된 경우, 지급이 불가하니 꼭 주소지를 확인하세요.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온라인으로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보통 **분기별로 약 1~2주의 신청기간**이 주어집니다.
- 경기도일자리재단 공식 홈페이지 접속
-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 거주 조건 확인 (자동 심사)
- 선정 결과 통보 → 지역화폐로 지급
신청 링크는 분기마다 변동될 수 있으니, 경기도청 홈페이지나 경기청년포털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화폐, 어디서 쓸 수 있을까?
2025년부터는 **기존 사용처 + 학습 관련 비용까지 확대**되어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 기존 : 편의점, 카페, 음식점, 마트, 미용실, 병원 등 일반 상점
- 신규 : 학원비, 자격증 시험 응시료, 일부 독서실, 스터디카페
단,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업소, 온라인 쇼핑몰 등은 사용 불가**하니 주의하세요.
혜택을 200% 활용하는 팁
✔ 수강료로 영어, 자격증, 코딩 학원 등록하기
✔ 응시료 지원되는 시험에 도전해보기 (한국사, 컴활, 토익 등)
✔ 생활비를 지역 내 카페·식당에서 사용해 소상공인도 함께 응원하기
✔ 지역화폐 페이백 이벤트도 함께 활용하기 (지역별 상이)
Q&A
Q1. 만 24세지만 올해 초에 이사 왔어요. 신청 가능할까요?
총 3년 이상 또는 누적 10년 이상 경기도 거주한 이력이 있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Q2. 사용 기한이 있나요?
지급일로부터 약 3개월 내 사용 권장되며, 지역화폐 앱에서 사용 가능 기간을 확인하세요.
Q3. 분기마다 꼭 신청해야 하나요?
1회 신청으로 자동으로 나머지 분기도 지급되며, 특별한 사유(전출 등)가 없으면 다시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
Q4. 지역화폐는 어떤 앱에서 받나요?
경기지역화폐 앱(코나아이, 지류형 등) 중 해당 시·군이 지정한 형태로 발급됩니다.
Q5. 기초생활수급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네, 중복 수혜가 가능하며, 소득 기준 제한은 없습니다.
결론 및 참여 유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단순 지원금이 아닌, **청년의 삶을 실질적으로 돕는 실용적 정책**입니다.
특히 올해부터 학원 수강료와 시험 응시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미래 준비에도 활용 가능**하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지금 바로 조건 확인하고 신청하세요!